안녕하세요, 커리어스텝입니다.
저희 커리어스텝을 통해 MBB 중 한곳에 합격한 국내 대학생분의 합격 후기를 공유드려요. 희망하는 컨설팅펌 준비에 도움되시길 바래요.
기본 질문
본인만의 합격 이유와 인터뷰 Tip은?
- 저는 '빠른 러닝커브'를 하나의 키워드로 계속 잡고 나갔습니다. 10분 스피치도 이를 보여줄 경험을 공유했고, Resume 관련 질문, Why Consulting?. Why Me? 등 다양한 Fit 질문을 각각 다른 경험이나 풀이 방식으로 설명을 해도 결국 '빠른 러닝커브'가 간접적으로는 보이도록 했습니다.
예시로, 인턴 혹은 동아리 경험을 공유할 때도 '빠르게 적응해서 좋은 성적을 내고 결국 기간 연장 or 리더십 포지션 제의를 항상 받았다~' 식의 설명을 추가했습니다. Why Me?에서는 직접적으로 이 포인트를 설명했는데, 이때 1) 빠른 러닝커브를 가지기 위한 조건이 무엇인지, 2) 내가 이걸 왜 갖고 있고 어떻게 발휘했는지 (짧게) 3) 컨설팅에 이게 왜 중요한지라는 측면에서 저를 어필하려고 했습니다. 참고로, Fit에서 키워드는 실제 면접에서 보이는 모습과 어느 정도 일치해야 하는 것 같기에, 케이스를 풀 때도 최대한 면접관님이 말하고자 하는 포인트를 빠르게 이해하고, Fast-Thinking 능력과 집요함이 있는 것처럼 보이려고 노력했습니다.
본인만의 케이스 공부법은?
- 나만의 케이스 틀을 만드는 연습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케이스 유형 별로 1) 핵심 Clarification, 2) 구조, 3) 엣지 포인트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고, 이 중 1번과 2번은 초기에 케이스를 푸는 자신감이나 속도감에 매우 도움이 됐습니다. 1번과 2번 같은 경우 꼭 엄청 특별하고 차별화된 구조일 필요는 없는 것 같고, 흔한 접근법이어도 이를 유형별로 먼저 익히는 게 도움이 됐습니다.
3) 엣지 포인트를 만들기 위한 노력은 많은 케이스 경험을 쌓고 나서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게 좋은 것 같습니다. 스터디 할 때나 Mock 인터뷰 때 특히 반응이 좋았던 나만의 접근법을 메모 후, 같은 유형의 문제가 나올 때 저만의 차별점을 살리려고 노력했습니다. 면접 직전에는 이 유형별 접근법들을 한번 쭉 읽어보고 들어가는 게 긴장을 덜하고 차분하게 면접에 임하는 것에도 도움이 됐던 것 같습니다.
취업 준비에 가장 도움 되었던 활동 및 경험은?
- 저를 잘 아는 친구와 1 대 1 스터디를 한 것이 가장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객관적으로 제 모습을 평가해 주며 Key 어필 모멘트를 잡아줬고, 전반적으로 Fit을 위한 경험들을 어떻게 풀어나갈지 같이 얘기해 준 것이 도움이 정말 많이 됐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같이 하나의 케이스를 가지고 여러 접근법을 고민해 보고, 필요할 때 편안하게 같이 스터디를 할 수 있었던 점이 프로세스 막판 집중력을 잡는 것에 매우 효과적이었습니다. 마지막으로, 결국 프로세스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 멘탈 관리인데, 프로세스 관련된 사항들이나 고민들을 편안하게 털어놓을 수 있는 사람이 있다는 것은 정말 필요한 것 같습니다. 취업 준비를 시작하기 전, 프로세스를 같이 밟는 사람이든 이미 합격한 사람이든, 지속적으로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사람을 꼭 만들어 놓는 것을 추천합니다 :)
합격 기준을 명확히 알고 있는 전직 인터뷰어 출신 포함 80+ 멘토 보러 가기 - https://bigstepedu.com/mentoring/mentor_list
채용 프로세스
서류
- 저는 Resume가 직관적이고 쉽게 읽힐 수 있도록 매우 공을 들였고, 첨삭도 3번 정도 받았습니다. 특히 인턴 경험들에서 내가 한 역할이 무엇이었는지 물어보지 않아도 알 수 있도록 쓰려고 했습니다. 그리고 제가 살리고 싶은 부분들 (특색 있는 동아리 경험, 유학 경험 등)도 빠짐없이 다 넣었고, 이에 대해 흥미롭게 본 면접관님들도 있었습니다.
온라인 테스트
- 온라인 테스트는 뻔한 답들이 아닌 정말 Question-Specific 하게 생각해 보고 답을 내리는 점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이전 기출들을 많이 참고하고 풀어봐야 같은 질문이 나오지 않더라고 온라인 테스트만의 Case 접근법을 익히는 것에 도움이 됩니다.
1차 인터뷰
- Q1. 자기소개 + Why Consulting?
- Q2. Resume Specific 한 질문들을 케이스처럼 내셨습니다. 식품 이커머스 산업이라고 가정했을 때, 해당 산업에 종사하는 스타트업들을 어떻게 분류할 수 있을지, 해당 산업에 중요한 것은 판매하는 상품 or 맞춤형 서비스인지 등을 물어보셨습니다.
접근법
- 실제 제 인턴 경험을 연관 지어서 인더스트리에 대해 느꼈던 점을 공유했어서 정해진 대답이 있진 않았습니다. 예시로, 스타트업 분류 같은 경우는, 식품을 직접 판매 or 판매하지 않는 BM으로 크게 나눴고, 직접 판매는 또 상품 직접 제조 or 상품 외부 소싱으로 나누는 등 최대한 쪼개어 봤습니다. 그리고 판매하지 않는 BM은 상품 정보 탐색 단에서 Curation과 같은 맞춤형 서비스 등이 요즘 트렌디하는 점을 설명드리며, 무너가 Case 푸는 것보다는 정말 산업에 대한 경험/인사이트를 나누는 느낌이었습니다!
2차 인터뷰
- Q1. 본인이 떨어진다면 어떤 이유로 떨어졌을 것 같나요?
- Q2. 대기업 오너가 춤에 관심이 생겨 댄스 관련 신사업을 하고 싶은데, xx 님이 팀장이라면 문제를 어떻게 접근할 건가요?
접근법
- 크게 3가지 순서로 문제를 풀었습니다. 우선 오너가 사업을 하는 목적에 대해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안들을 (오너 과거 사업/투자 track record 분석, 회사 현황 분석) 말씀드렸습니다. 그리고 이어서 사업 아이템 선정을 진행했는데, 이때 1) 춤에 대한 사람들의 니즈를 나열하고, 2) 이 중 해당 기업의 역량으로 tapping 가능한 분야를 우선순위화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는 how 측면에서 어떻게 신사업을 진행할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했습니다.
3차 인터뷰
- Q1. RA 때 어떤 프로젝트를 했나요? 본인이었다면 그 프로젝트에서 어떤 결론을 내렸을 건가요?
- Q2. 넷플릭스 코리아가 지금 대비 가입자를 1.5배 늘리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접근법
- 크게 두 가지 순서로 문제를 접근했습니다. 우선 1.5배라는 목표치가 달성 가능한지 Align 했습니다. 이에 대한 결론을 내린 후, 어떻게 가입자 확보를 해야 할지에 대해 제안 드렸습니다. 가입자 확보 방안은 2 by 2 Matrix를 신규/기존 고객 및 시장 축으로 만들고, 진출하기 쉬운 기존 시장 내의 전략들을 우선적으로 말씀드렸습니다. 기존 및 신규 고객을 각각 Key Buying Factor인 1) 콘텐츠 다양성/차별성, 2) 가격, 3) 플랫폼 편리성 측면에서 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지를 분석하다가 케이스가 마무리됐습니다.
Resume 및 Fit 인터뷰에 대해 배워보기 - https://bigstepedu.com/case/framework/fit_interview/view
더 많은 합격후기 보러 가기 - https://bigstepedu.com/community/final_acceptance
'컨설팅펌 합격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대학생의 MBB 합격후기 (5) [준비 방법 & 인터뷰 질문 풀이] (0) | 2024.08.23 |
---|---|
국내 대학생의 MBB 합격후기 (4) [준비 방법 & 인터뷰 질문 풀이] (0) | 2024.08.06 |
국내 대학생의 MBB 합격후기 (2) [준비 방법 & 인터뷰 질문 풀이 Tip] (0) | 2024.07.30 |
국내 대학생의 MBB 합격후기 (1) [준비 방법 & 인터뷰 질문 풀이 Tip] (1) | 2024.07.23 |
미국 유학생의 MBB 합격 후기 [준비 방법&인터뷰 질문 풀이 Tip] (6) | 2024.07.22 |